반응형

주식용어 2

주식초보를 위한 가치주평가 용어 알아보기3(PBR,EV/EBITDA)

기업 가치와 저평가주 평가를 예상할 수 있는 주가순자산비율(PBR), 이브이에비타(EV/EBITDA)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주가순자산비율(PBR) 주가순자산비율(PBR)은 주가를 1주당 자산가치로 나누었을 때 몇 배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업의 청산가지(장부상의 가치)와 시장가치를 비교하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주가순자산비율(PBR) = 주가/주당순자산 주가수익비율(PER)이 기업의 수익성만으로 주가를 판단하는 척도라면, 주가순자산비율(PBR)은 기업의 재무내용과 비교해서 주가를 판단하는 척도입니다. 즉, 주가순자산비율은 재무내용에 비해 주가가 어느 정도 수준에 있는지를 표시합니다. 따라서 PBR이 높고 낮음은 재무상태에 비해 주가가 상대적으로 높고 낮음을 말합니다. (예) PBR이 1이면 ..

주식노트 2022.06.15

주식초보를 위한 가치주평가 용어 알아보기1(기업의 가치,ROE)

주가는 기업의 가치를 반영한다고 합니다. 기업의 가치는 크게 수익가치, 자산가치, 성장가치의 3가지 가치로 구성됩니다. 가치주는 앞으로 이익을 많이 낼 수 있는 기업이라고 하며, 주가가 높고 안정적입니다. 자산주는 토지,건물과 같은 부동산이나 우량주식, 채권과 같은 유가증권 그리고 현금, 예금과 같은 현금성 자산을 많이 보유한 기업의 주식을 말합니다. 마지막 성장주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시장평균이나 업종 평균에 비해 월등히 높은 기업의 주식을 말하며 주가 등락도 심한 편입니다. 이러한 기업의 가치를 확인할수 있는 지표는 크게 4가지로 구분되며 자기자본이익율(ROE), 주당순이익(EPS)과 주식수익비율(PER),이브이에비타(EV/EBITDA), 마지막으로 주가순자산비율(PBR)입니다. 이중 자기자본이익율(R..

주식노트 2022.06.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