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이 지나 2023년이 된지도 어느덧 두달이 지났습니다.
트렌드코리아 2023에서는 토끼해를 맞아 RABBIT JUMP라는 10가지 키워드로 정리하여 기술하고 있습니다.
관련된 키워드 하나씩 요약 정리해보겠습니다.
1. Redistribution of the Average 평균 실종
한마디로 요약하면 중간이 사라지고 양극화 되고 있다.
앞으로 우리가 취해야 할 전략은 다음 세가지 중 하나일 것이다.
(1)'양자택일' 전략: 양극단의 방향성에서 한쪽으로 색깔을 확실히 함
(2)'초다극화' 전략: 소수집단(때로는 단 한 명)에게 최적화된 효용을 제공
(3)'승자독식' 전략: 경쟁자들이 모방할 수 없는 생태계(네트워크)를 구축
2. Arrival of New Office Culture: 'Office Big Bang' 오피스빅뱅
코로나19로 자산 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노동의 가치의 하락하면서 개인주의적 가치관의 변, 다양한 근무 형태와 복지 중시
3. Born Picky, Cherry-sumers 체리슈머
짠테크, 자신이 필요한 만큼만 딱 맞춰 구매하는 '조각 전략'으로 실속을 챙기고, 함께 모여 소비하는 '반반 전략'으로 절약, 그리고 '말랑 전략'으로 유연한 계약(필요 기한만큼만 계약하여 사용후 해지)을 찾으며 리스크 줄임
4. Buddies with a Purpose: 'Index Relationships' 인덱스 관계
- 저절로 만들어지는 인연에 노력을 더해, 내가 만들 수 있는 인간관계의 풀을 최대한 넓혀가고자 함
- 현대인의 인간관계는 하나의 축으로 정의되는 '관계의 밀도'가 아니라, 다양한 기준점이 서로 교차하는 '관계의 스펙트럼'으로 표현되어야 할 만큼 복잡
- 복잡한 '관계 스펙트럼' 속에서 수만은 인간관계를 유지하려면 불필요한 에너지를 들이지 않으면서도 서로가 부담을 느끼지 않는 선에서 영리하게 관계를 유지하는 전략 필요
-‘랜덤 관계’의 등장: 선택에 의한 관계
- 인덱스 관계에서는 소통에 대한 선택지가 ‘나’에게 있어야 한다.
5. Irresistible! The 'New Demand Strategy' 뉴디맨드 전략
- 사지 않고는 배길 수 없는 대체 불가능한 상품을 개발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방법론
- 대상이 바뀌지 않더라도 그에 대한 인식이 바뀌면 그 대상은 새로운 것이 된다.
- 구독: ① 소프트웨어나 클라우드 서비스의 계속적 이용과 같은 권한부여형, ② 화장품·민속주처럼 매달 새로운 상품이 도착하는 추천형, ③ 면도기·기저귀처럼 같은 상품이 정기적으로 도착하는 배송형으로 나뉜다.
- 존속적 혁신이 기존 상품의 성능이 좋아지면서 교체수요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기술이라면, 파괴적 혁신은 “기존 제품보다 더 싸고, 더 단순하고, 더 작고, 더 사용하기 편리하기” 때문에 신규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전에 없던 상품’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6. Thorough Enjoyment: 'Digging Momentum' 디깅모멘텀
- ‘멀티 페르소나’ 시대에 ‘찐자아’를 찾으려는 열정 가득한 노력이자, 코로나 사태와 불경기 속에서 흔들리는 실존적 불안에 대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자신만의 행복전환점을 찾으려는 삶의 매진이다.
- “인간의 행복은 마음속에 관심 있는 대상이 존재하는 상태”이며, “그 대상을 향해 스프링처럼 튀어 나갈 수 있는 준비가 됐을 때가 행복한 상태”라고 설명
7. Jumbly Alpha Generation 알파세대가 온다
- 알파세대는 자기중심성이 강해 ‘제일 중요한 것은 나’라고 믿는 까닭에 모두가 스스로를 셀러브리티이자 아키텍트라고 여긴다.
- '결핍'이 결핍된 풍요로운 시대에 성장중인 알파세대의 필수교육은 경제교육
8. Unveiling Proactive Technology 선제적 대응 기술
- 개인화가 고객 한 사람을 ‘하나’의 대상으로 보는 데 초점을 맞췄다면 선제적 대응기술은 그 한 사람이 겪을 수 있는 다양한 맥락들을 구분한다.
9. Magic of Real Spaces 공간력
- 공간은 사람을 이끌고, 머물게 하고, 느끼게 한다. 공간은 ‘空(비어 있을 공)’과 ‘間(사이 간)’이 합쳐져 만들어진 말로, 한자의 뜻 그대로 보자면 아무것도 없는 ‘빈 곳’을 가리키지만 동시에 어떤 일이 일어나거나 사물이 ‘존재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가능성을 뜻하기도 한다. 공간에는 ‘빈 공간 사이’ 이상의 의미가 있다.
- 매장의 형태에 있어서도 중력의 효과를 강화하는 전략적 방향을 설정하되, 대형 매장과 소형 매장이 지닌 각각의 장점을 모두 가져갈 수 있는 정반합적 이원화 방식이 향후 유통 매장 트렌드로 나타날 전망
- 현대 가상공간은 최고의 고객경험을 선사하는 일종의 테마파크가 되어야 한다.
- 공간력은 하나의 테마와 컨셉을 통해 공간 이미지를 창출함으로써 고객의 환상을 현실공간에 구현하는 데에서 나온다.
10. Peter Pan and the Neverland Syndrome 네버랜드 신드롬
-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면서 동반하게 된 생애주기의 구조적 변화에 있다. 건강하게 오래 살게 되면서 청춘의 기간이 길어진 가운데, 생애과정이 다양화되며 어른이라고 부를 수 있는 전형적인 모습이 사라진 것이다.
10가지 키워드 중 핵심이 되는 키워드는 평균실종이라고 말할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양극화가 진행되면서 다양한 사회 양극화가 일어나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알수 있듯 2023년은 경제적으로, 사회적으로 어려운해가 될 것 같습니다. 트렌드코리아 2023를 생각하면서 슬기로운 투자, 소비를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독서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똑똑한 선택을 돕는 '넛지(Nudge)': 행동경제학의 실천적 지혜 (0) | 2024.06.30 |
---|---|
[책공부] 부자의 그릇 요약 (0) | 2023.02.20 |
세이노의 가르침 요약 4 - 삶을 대하는 자세 (1) | 2022.09.20 |
세이노의 가르침 요약 3 - 투자(재테크) (1) | 2022.09.19 |
세이노의 가르침 요약 2 - 소비 (0) | 2022.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