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노트

통화지표 요약 설명 (M0, M1, M2, Lf, L)

쿠키바다 2022. 7. 6. 17:56
반응형

부동산이나 주식 등 투자하기 앞서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개념입니다.

통화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여 주식이나 부동산 투자 등에서 경기의 향방을 미리 예측할 수 있을 것입니다.

 

본원통화 (M0)
한국은행 발행 후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
시중 거래되는 통화량에 포함
현금성 통화
민간이 보유한 현금과 은행이 예금자에게 지불할 수 있게 준비해서 한국은행에 예치해 둔 지급준비금의 합
민간보유현금 + 지급준비금 + 은행시재금

 

협의통화 (M1)
주로 얼마나 돈이 시장에서 현금 또는 즉시 현금화할 수 있는 상태로 유통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
본원통화와 결제성 예금 등 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돈
결제성 예금이란 보통예금처럼 예금주가 원하면 언제든 지불해 주어야 하는 요구불예금이나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 저축성 예금을 말함
MMF, CMA 등 

 

광의통화 (M2)
= 통화량(돈의 흐름)
협의통화 + 2년 미만의 정기예금 / 적금 등의 준결제성 예금
광의통화량이 증감으로 시장 상황 예측 가능
광의통화량이 완만히 증가하면 시중 통화량이 안정, 증가율이 급증하면 물가가 급등, 증가율 급락하면 경제성장률 하락

금융기관유동성 (Lf)
은행, 증권회사, 보험회사 등 금융기관의 통화량 지표(증권회사의 예수금, 생명보험회사의 보험계약 준비금 등)
금융기관의 통화 예치기간이 정해져 있는 상품을 모두 합한 지표

 

광의유동성 (L)
국가 전체의 총 유동성
금융기관 유동성+정부 및 기업 발행 유동성 상품
정부와 기업이 발행하는 국채, 지방채, 기업어음, 회사채 등 모두 포함

 

통화 지표 관련 세부 내역은 한국은행 경제통계 시스템(ecos.bok.or.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